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추석명절 제사 상 차리는 법

by 쁘리v 2021. 9. 15.
반응형

추석명절이 곧 다가오고 있습니다. 명절이 아니어도 제사를 1년에도 몇 번씩 지내는 집이 있다면 참고하시라고 이렇게 제사상 차리는 법을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추석명절에 제사를 지내는 집도 있고 아닌 집도 있을 텐데요. 가족들마다 그리고 지역마다 제사상은 다르게 차려집니다. 제사 상은 TV에서도 많이 보았습니다. 우선 상을 준비합니다. 간소화가 많이 되었지만 원래 제사상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이번 포스팅에 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냥 참고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제사상을 차리기에 앞서 제사 음식도 중요하고 음식을 차례대로 배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큼지막한 제사상이 있어야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언급할 부분은 차례상과 제사상은 다릅니다. 제사상이 돌아가신 조상님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이기 때문에 상차림 규정이 조금 엄격한 부분이 있습니다. 차례는 약식으로 지내는 거기 때문에 좀 더 간소화하다고 보시며 됩니다.

1열부터 5열까지 그리고 열에 각 순서대로 배치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요즘 많이 생략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간단하게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헷갈리실 수 있는데 1열의 시작은 우리가 조상을 보는 위치에 가까운 게 1열이 아니라 사진 쪽 즉, 조상이 있는 곳이 1 열입니다.  쉽게 말해 살아있는 사람과 반대로 놓으면 됩니다. 

 

1열은 반서갱동 밥과 술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2열에는 어동육서로 어류는 동쪽 육고기는 서쪽입니다. 여기서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으로 가게 올려야 합니다. 

3열은 탕 종류를 놓으시면 됩니다. 육탕 소탕 어탕 등, 그리고 촛대도 양 쪽에 같이 높습니다.  

4열은 좌포우혜 포 종류는 서쪽에 식혜는 동쪽이며 삼색나물은 생선과 식혜 가운데에 놓으면 됩니다. 

5열은 디저트 류로 보시면 쉬운데 조율이시라고 하여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한과 이렇게 배치하는 것이 기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일을 놓을 때에는 붉은 과일이 동쪽 흰 과일이 서쪽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제사상 차릴 때 주의하실 부분

털이 있는 복숭아의 과일은 피해야 합니다. 복숭아나무가 귀신을 쫓는다고 해서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것으로 예로부터 이야기가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간을 짜거나 맵게 하지 않습니다. 양념을 최소화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또한 생선은 두꺼운 비닐이 있는 생선 종류는 피하고 끝자리가 치로 끝나는 생선은 피하며 어나 기로 들어가는 흰살생선을 올리는 게 좋다고 합니다. 또한 팥고물보다는 흰색 고물을 사용하게 되어있습니다. 

 

제사 이후 제기(그릇)를 관리하는 법

나무 제기의 경우 : 물에 담가 놓지 않고 마른행주로 조금씩 물에 묻혀 가면 닦으면서 물기를 제거합니다. 수세미는 나무 제기가 상하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되고 행주로 사용하고 물기 제거를 다 한 후 종이나 신문지에 보관합니다. 

놋 제기의 경우: 놋그릇 전용 수세미로 닦으며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놋 제기가 변색되지 않도록 신문지로 싸고 밀봉을 해야 합니다. 산소에 노출되면 변색되는 것을 막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추석명절 제사상 기본 이론을 잘 참고하시어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추석명절 음식의 대표적 전 갈비 송편의 레시피는 하기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추석 명절 음식 종류 및 레시피

 

추석 명절 음식 종류 및 레시피

추석명절 하면 오랜만에 가족들도 만나지만 명절에만 먹는 음식이 있다 보니 명절이 기다려집니다. 베스트 음식 몇 가지를 꼽아 보고 추석 음식 종류와 레시피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

88-ing.tistory.com

 

 

댓글